1. 내가 해보는 전시
  2. 디자인형

내가 해보는 전시

url 공유 인쇄 인쇄
유리건판/사진
  • 2020-03-14
  • 안수완
  • 조회 376
원조 집콕! 집에서 노는 다양한 방법!
코로나 19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때에, 우리 조상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집에서 놀았는지 알아봅니다. 그들의 다양한 놀이 문화를 토대로 재미있게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장기

장기

경기도박물관 - 소장 3266

바둑돌

바둑돌

국립중앙박물관 - 신안 23534

화투(花鬪)

화투(花鬪)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40271

12가지 그림이 그려진 패로 끗수를 겨루는 놀이 도구. '금성 나이론 화투', 12가지 그림이 4장씩 총 48장으로 구성. 테두리와 뒷면은 붉은색. 제품명이 인쇄된 종이 상자(세로 5.3, 가로 7.7, 두께 2)에 들어 있음.
한글 윷판과 윤목

한글 윷판과 윤목

국립한글박물관 - 한구 5942

중국 당나라의 시인 고적(高適)이 지은 7언절구 '제야작(除夜作)'을 한글로 윷밭에 쓴 윷판과 윤목. (2-1)윷판, (2-2)윤목으로 구성. (2-1)종이에 먹. 29개의 말밭을 원형으로 그린 윷판. 29개의 말밭 또한 원형이며 정 가운데의 밭은 이중선으로 동그라미를 그리고 '방'자를 적음. 나머지 28개의 말밭에는 '제야작'의 시구인 '녀관한등독블면(旅館寒燈獨不眠) 객심하젼처연(客心何事轉悽然) 고향금야쳔니(故鄕今夜思千里) 상빙명됴우일년(霜鬢明朝又一年)'을 시계방향으로 한 글자씩 적어 넣음. 출발점 및 말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교차점에 네 곳에 '츌', '입', '녈', '후'라고 적음. 뒷면에 '계미(癸未) 납월(12월) 염사일(24일) 등하의셔(등 아래에서) 윳판 그리다~' 한글 명문 있음. 명문의 '계미년'은 1883년 또는 1943년으로 추정됨. 여러 겹으로 접어 보관했던 흔적 있음. 누습으로 인한 얼룩 있음. (2-2)나무 재질의 오각형 윤목. 각 면의 가장자리에 1~5개의 작은 동그라미가 음각됨. 상태 양호함. 양 끝에 낙서 있음. 일부에 흠집 있으나 상태 양호함. 자료등급: 3등급.
가투(歌鬪)

가투(歌鬪)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40267

시조나 노래를 적은 놀이딱지.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유행했던 '시조(詩調) 놀이'용 카드. 삽화와 시조 1수가 모두 적힌 '읽는 쪽' 카드와 종장만 적힌 '집는 쪽' 카드 98장 씩 총 196장으로 구성. 카드의 뒷면은 붉은색으로 '壽福'이 인쇄됨.
금강

금강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46391

잡지 『어린이』부록으로 나온 놀이판. 직사각 형태. 소화(昭和) 4년(1929) 2월 20일 발행. 중앙에는 육각 별모양이, 별모양 테두리와 내부에는 말을 놓을 수 있는 점이 인쇄됨. 상단에 '금강', 하단에 이문당(以文堂) 서점 광고가 인쇄됨. 좌측 상단에 잡지 인가일과 발행일이, 우측 상단에 ‘어린이 附錄’, '노는法설명은ㄴ어린이ㄱ冊속에잇슴니다'가 인쇄됨.
종이 피아노

종이 피아노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21

피아노 건반이 인쇄된 어린이 교육, 놀이자료. 앞면에는 '피아노 레슨', 건반, 음계표 등이 인쇄되어 있고, 뒷면에는 '건반 누르는 방법', '피아노, 오르간 연주 자세', 단조와 장조 음계표가 인쇄되어 있음. 한국공사 제조. 가격은 100원.
계급따기노리

계급따기노리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46388

군대 계급으로 말밭을 삼은 놀이판. 직사각 형태. 단기(檀紀) 4285년(1952) 2월 14일 등록. 저작자 김태일(金泰日). 아래에서 위로 '이등병'에서 '면역'까지 군대 계급이 인쇄되고, 화살표로 연결됨. 각 계급 앞에 계급장이 인쇄됨. 우측 상단에는 군기준수, 사기앙양을 위해 제작되었다는 문구가, 우측 하단에는 놀이방법이, 맨 아랫단에는 등록일, 등록번호, 저작자, '대한군인유족회 경기도지부'가 인쇄됨.
종이인형

종이인형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19

종이 인형에 여러 종류의 옷과 소품들을 모양대로 잘라서 입힐 수 있도록 인쇄된 놀이 자료. 앞면에 '느낌', '옷 입히기' 등이 인쇄됨. 한국공사 제조. 가격은 100원.
야구게임판

야구게임판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17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대로 움직여 진행하는 야구 놀이판. 투수와 1~3루에 있는 수비수를 앞으로 접어 올릴 수 있고, 주자표시말 등을 떼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함. 앞면에는 '야구 게임판', 놀이 방법, 놀이판 등이 인쇄되어 있음. 영신 제조. 가격은 100원.
회장님 회장님 우리회장님

회장님 회장님 우리회장님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15

주사위나 윳을 던져서 나온 수대로 움직여 1번부터 시작해 100번까지 먼저 가는 사람이 승리하는 놀이판. 앞면에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1980년대 KBS 코메디 프로그램인 "유머일번지"의 시사 코메디 코너로 김형곤, 김학래 등 출연)', 놀이 방법 등이 인쇄되어 있음. 한국공사 제조. 가격은 50원.
윷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평봉 422

윷놀이할 때 사용하는 도구. 윷 4점, 윷말 8점, 윷판, 영문 설명서, 케이스로 구성됨. (16-1~4)는 길쭉한 통나무를 반으로 자른 형태. 양끝이 좁고 배 부분이 통통함. 윷 상부에 쌍희자, 버드나무, 한복을 입은 인물이 그려짐. (16-5~12)는 윷판에 사용하는 말. 머리 부분을 둥글게, 몸통을 세모나게 다듬은 형태. 얼굴에 눈과 입이 그려짐. 머리 부분에 (16-5~8)은 초록색, (16-9~12)는 빨간색이 칠해짐. (16-13)은 윷판. 하늘색 바탕천에 윷밭을 그린 형태. (16-14)는 영문 설명서. 윷놀이에 대한 간략한 설명, 예시 그림, 규칙 등이 인쇄됨. (16-15,16)은 윷놀이 세트를 담은 상자 및 뚜껑. 상자 내부에 윷과 말이 각각 보관되도록 3칸의 칸막이를 두어 구획함.
십이지 딱지

십이지 딱지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74490

어린이 은행놀이

어린이 은행놀이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22

어린이 교재용으로 제작되어 돈의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은행 놀이자료. 종이로 된 지폐, 동전, 카드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제작함. 앞면에 '어린이 은행놀이', '교육교재용' 등이 인쇄됨. 별나라 제조. 가격은 100원.
이미지가 없습니다.

전투주사위놀이

전투주사위놀이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54816

주사위를 던져서 나온 수대로 움직여 '스타트'부터 '고울인'까지 먼저 가는 사람이 승리하는 전투 주사위 놀이판. 앞면에는 '고지탈환 전투 주사위 놀이', 놀이 방법 등이 인쇄되어 있고, 뒷면에는 윷놀이판이 인쇄되어 있음. 부린 제조. 가격은 50원.
이미지가 없습니다.

개국 오십년 쌍륙 놀이판

개국 오십년 쌍륙 놀이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구입 6657

1908년(명치 41) 1월 1일 발행된 월간 잡지 소년세계에서 부록으로 제작한 쌍륙(雙六) 놀이판. 앞면에 우측 하단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미국 페리 제독의 일본 개항 요구, 에도(江戸) 막부가 천황에게 국가 통치권을 돌려주는 것, 정한론(征韓論)의 등장, 이와쿠라(岩倉) 사절단, 러일전쟁 등 개항부터 러일전쟁까지 일본의 주요 사건의 설명이 있는 그림 26개로 구성된 쌍륙판이 인쇄됨. 가장자리 상단에는 '少年世界 新年 大付錄 開國 五十年 雙六', '小波案', '竹坡畵' 문구가, 우측에는 '少年世界 第十四券 第一號 付祿 開國五十年 雙六' 문구와 발행소(博文館)에 관련된 정보가, 하단과 좌측에는 인쇄소, 발행인 및 인쇄인 등에 관련된 정보가 있음.
세계부인풍속쌍육(世界婦人風俗双六)놀이판

세계부인풍속쌍육(世界婦人風俗双六)놀이판

안동시립민속박물관 - 구입 1360

'세계부인풍속쌍육'이라고 쓰여져 있어 일종의 놀이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정6년(1917) 1월1일 발행된 컬러 인쇄물로 세계 여러나라의 전통의상을 입고 있는 민속그림이 그려져 있다. 그 가운데 일본을 중심으로 조선을 비롯하여 여러 서방국들의 전통의상을 입고 있는 모습을 그렸는데 일본만 전통의상과 함께 서구식 의상을 입고 있는 신여성의 모습을 그려 넣어 일본의 우월성을 나타내고자 한 듯 보인다.
러일전쟁 쌍륙 놀이판

러일전쟁 쌍륙 놀이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구입 5694

1905년(명치 38) 1월 1일 오사카(大阪) 아사히신문(朝日新聞)에서 러일전쟁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쌍륙(雙六) 놀이판. 앞면에 '朝日の光り', '日露戰爭雙六' 문구와 러일전쟁의 진행 과정을 기록해 놓은 '1. 인천해전(仁川海戰), 2. 호외(號外), 3. 기원절(紀元節), 4. 폐새대(閉塞隊)' 등 총 22개의 삽화가 인쇄됨. 가장자리에 발행일, 발행처, 놀이 해설 등이 있음.
시조 놀이 카드

시조 놀이 카드

국립한글박물관 - 한구 1691

시조 놀이에 사용되는 카드임. 총 72장으로 구성. 초·중·종장을 함께 써 놓은 것과 초·중·종장을 각각 써 놓은 두 종류의 카드로 카드 뒷면은 연두색으로 문양을 디자인했고, 가운데 붉은색으로 壽福 두 글자를 인쇄했음. 시조는 다른 면에 연두색의 여백을 남기고 안에 인쇄했음. 얼룩과 찢어진 부분이 있으나 상태 양호한 편임. 시조 놀이는 시조를 누가 더 많이 외우고 있는가를 겨루는 놀이로 시조연상놀이, 시조잇기놀이, 가투(歌鬪) 놀이, 화가투(花歌鬪) 놀이라 함. 시조 놀이는 카드에다 각 시조의 초·중·종장을 따로 써놓고, 한 사람이 초장·중장·종장을 읊으면 다른 사람들은 나머지 카드에서 종장을 찾는 방식으로 진행됨. 자료등급: 3등급.
돈셈, 계급 놀이

돈셈, 계급 놀이

울산박물관 - 울산 8137

종이인형 옷입히기 놀이

종이인형 옷입히기 놀이

울산박물관 - 울산 7849

딱지치기,공기놀이

딱지치기,공기놀이

풀짚공예 - 창작 134

어린이들의 민속놀이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십이지 놀이용 종이패

십이지 놀이용 종이패

여주박물관 - 여주박물관 2270

색동글씨놀이 딱지

색동글씨놀이 딱지

국립한글박물관 - 한구 5919

1970~80년대 제작된 한글 자모가 그려진 글씨놀이 딱지. 각각 다른 도안의 4x5.4cm크기의 딱지 24개와 딱지 제목 1개로 이루어진 전지의 동일본 총 20매로 구성. 25개의 딱지 각각에 한글 자모와 한글 자모에 따른 예시를 적고 1970~80년대에 방영된 만화영화 캐릭터를 그렸음. 한글 자모 옆에 가위, 바위, 보 중 하나 또는 주사위 그림 있음. 딱지 뒷면에는 영어 알파벳과 알파벳 예시에 따른 스포츠 종목과 삽화를 그림. 앞면에 '작은영웅', '신안원 제79-265', '복제 복사 엄금', '태영'이 표기되어 있어, '태영'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딱지는 손으로 쉽게 뜯어 놀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 미사용 딱지로 상태 양호한 편임. 자료등급: 3등급.
국군대진도 윷놀이판

국군대진도 윷놀이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한박 1930

국군대진도 계급따기놀이 윷놀이판. 군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오락용으로 제작된 것. 앞면 하단에 '노는방법'을 설명해 놓았으며, 뒷면에 위문그림·위문편지를 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음.
전투작전놀이카드

전투작전놀이카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한박 4233

전쟁놀이카드로, 52장의 종이카드가 분리되지 않은 형태임. 카드는 각각 이병부터 원수까지의 군인 계급과 탱크·비행기·미사일 등의 무기가 있으며, 붉은팀과 파란팀으로 나뉘어져 있음. 카드는 접혀진 상태로 '전투놀이하는 법'이 인쇄된 종이에 싸여져 종이케이스 안에 있음.
전통민속놀이 '탈춤' 기념주화

전통민속놀이 '탈춤' 기념주화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80944

한국은행에서 2007년 전통민속놀이 '탈춤' 을 기념하여 발행한 기념주화. 한국조폐공사 제조. 기념 주화, 보관함, 보증서, 겉포장지로 구성됨. 기념 주화는 이만원. 12각형. 앞면에는 은율탈춤과 봉산탈춤의 춤사위가, 뒷면에는 하회별신굿탈의 양반탈 등 7개 탈의 이미지가 주조됨. 아크릴 케이스에 들어 있음. 보관함은 뚜껑과 몸체가 연결된 형태. 윗면에 '탈춤, 한국은행', 심볼이 주조됨. 내면에 주화를 넣을 수 있는 원형 홈이 있고, '2007년 전통민속놀이 '탈춤' 기념주화', 발행, 제조 등이 표기됨. 주화에 대한 명세서가 한글과 영문으로 인쇄됨. 겉포장지는 양쪽이 뚫린 덮개 형태. 앞면 우측 하단에 '발행 한국은행, 제조 KOMOSCO 한국조폐공사' 인쇄됨.
주사위

주사위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89032

쌍륙(雙六) 놀이에 사용되는 주사위. 각 면에 1에서 6까지의 점이 새겨짐.
쌍륙

쌍륙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85254

두 편이 주사위를 던져 숫자대로 말을 이동하여 적진에 먼저 들어가면 이기는 놀이의 도구. 판, 주사위(높이 1.2, 세로 1.2, 가로 1.2) 2개, 말(높이 6.5~7.5, 너비 3.4) 30개로 구성됨. 주사위 각 면에 1에서 6까지의 점이 새겨지고 채색됨.
골패(骨牌)

골패(骨牌)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70392

투호(投壺)

투호(投壺)

도산서원 - 도산서원 11

제기

제기

국립민속박물관 - 민속 34872

발로 차고 노는 장난감. 엽전을 종이로 싼 다음, 엽전 구멍 사이로 종이를 엮어 날개를 만든 것임.
이미지가 없습니다.

대통령 선거 게임

대통령 선거 게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구입 4200

유니콘에서 선거에 대해 알려주고자 제작한 보드게임. 총 12점. 게임판, 선거 카드, 돈 카드, 지지자 칩, 주사위, 말꽂이 4점, 설명서, 케이스 2점으로 구성됨. (12-1)은 게임판. 접지 형태. 말과 카드를 올려놓는 보드에 '출발'·'선거운동'·'선거후원회' 등 28개의 칸이 인쇄됨. (12-2)는 선거 카드와 게임 말이 인쇄된 카드. 앞뒷면에는 각 '말꽂이' 문구와 꽃으로 구성된 카드 4개, 4개의 캐릭터가 2개씩으로 그려진 카드 8개가, 앞면에는 지시 내용이 적힌 선거카드 26개가, 뒷면에는 '선거카드' 문구가 적힌 카드 26개가 인쇄됨. (12-3)은 돈 카드. 앞면에는 'THE UNICON BANK', '유니콘 은행' 문구와 10만원 단위로 100,000~500,000원에 해당하는 금액이 각 12개씩 숫자로, 뒷면에는 한글로 인쇄됨. (12-4)는 지지자 칩. 앞면에는 '지지자칩' 문구가, 뒷면에는 '100', '500', '1000' 문구가 30개씩 인쇄됨. (12-5)는 주사위. 직사각형 형태로, 각 면에 1~6까지의 점이 인쇄됨. (12-6~9)는 말꽂이. 정육각형 판에 말을 꽂을 수 있는 2개의 직사각형 판이 붙어 있는 형태. (12-10)은 설명서. 앞면에는 '머릿말', '게임의 준비', '내용물' 등 5개 항목의 설명이, 뒷면에는 '말판 설명'이 인쇄됨. (12-11)은 종이 케이스로, 뚜껑이 없고 몸체만 있는 형태. (12-12)는 전체 케이스. 직육면체 형태로, 좌우 측면이 개폐되어 여닫는 구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