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1976년 대한산악연맹 경상북도연맹에서 간행한 부정기 간행물이다. 한솔 이효상의 권두시, 권두사, 산악활동의 어제 오늘, 산악논단, 산악문예, 별책 부록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팔공산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및 군위군 부계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종상의 산형을 이루고 있다. 팔공산(1,193m)은 태백산맥의 보현산(普賢山, 1,124m)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이다.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팔공산 창간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팔공산 창간호
국립산악박물관
명칭팔공산 창간호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특징1976년 대한산악연맹 경상북도연맹에서 간행한 부정기 간행물이다. 한솔 이효상의 권두시, 권두사, 산악활동의 어제 오늘, 산악논단, 산악문예, 별책 부록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팔공산은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및 군위군 부계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종상의 산형을 이루고 있다. 팔공산(1,193m)은 태백산맥의 보현산(普賢山, 1,124m)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이다.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소장품번호
산악
302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팔공산 창간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