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이마·귀·목덜미를 덮어 쓰는 한국의 옛날 방한모.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가 뚫려 있고 아래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4∼7㎝ 너비의 털가죽이 덮혀있어 따뜻해보인다. 모정(帽頂)이라고 불리는 모자 꼭대기는 4~5㎝ 정도이 뚫려있다. 남자는 남바위 위에 갓을 쓰며, 여자는 남바위만을 착용하기 때문에 술 장식 등 치례를 하였다. 보라빛 비단이 안감으로 있으며 붉은색의 술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특징이마·귀·목덜미를 덮어 쓰는 한국의 옛날 방한모.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가 뚫려 있고 아래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4∼7㎝ 너비의 털가죽이 덮혀있어 따뜻해보인다. 모정(帽頂)이라고 불리는 모자 꼭대기는 4~5㎝ 정도이 뚫려있다. 남자는 남바위 위에 갓을 쓰며, 여자는 남바위만을 착용하기 때문에 술 장식 등 치례를 하였다. 보라빛 비단이 안감으로 있으며 붉은색의 술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