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社告)에 따르면 본 호부터 용지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격월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표지에서도 확인됨.
당시 조선말 큰사전 편찬과 인쇄가 진행되고 있던 상태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박창영(朴昌泳)이 「N.E.D.(The New English Dictionary, , 해당 글의 설명에 따르면 1928년 10권으로 완간됨)의 연혁(沿革)과 한글 슬리트」라는 글을 실어 이미 출간된 타 언어 사전과의 비교와 현존 언어를 중심으로 한 사전 간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음. 이외에 전몽수(田蒙秀)의 「채색어휘고 2(彩色語彙考 二)」 등과 각 지방의 사투리 등의 내용들이 수록됨.
표제에 '국립부산대학교 인문과대학 도서관장' 직인이 찍혀 있으며, 표지 좌상단에 '제(濟)'라는 한자가 펜글씨로 적혀 있는데 이유는 알 수 없음.
저작권 보호분야 “한글 제90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한글 제90호
김해한글박물관
명칭한글 제90호
다른명칭한글 제9권 제8호
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
분류미디어 - 신문/방송 - 잡지
재질종이
특징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에서 발행한 한글 학술 잡지.
1941년(소화 16) 9월 1일 정인승(鄭寅承)을 편집인으로 하여 조선어학회에서 발행.
사고(社告)에 따르면 본 호부터 용지 수급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격월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표지에서도 확인됨.
당시 조선말 큰사전 편찬과 인쇄가 진행되고 있던 상태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박창영(朴昌泳)이 「N.E.D.(The New English Dictionary, , 해당 글의 설명에 따르면 1928년 10권으로 완간됨)의 연혁(沿革)과 한글 슬리트」라는 글을 실어 이미 출간된 타 언어 사전과의 비교와 현존 언어를 중심으로 한 사전 간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음. 이외에 전몽수(田蒙秀)의 「채색어휘고 2(彩色語彙考 二)」 등과 각 지방의 사투리 등의 내용들이 수록됨.
표제에 '국립부산대학교 인문과대학 도서관장' 직인이 찍혀 있으며, 표지 좌상단에 '제(濟)'라는 한자가 펜글씨로 적혀 있는데 이유는 알 수 없음.
표지 누습과 오염 있으며 내지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
작가조선어학회 편
크기세로 18.6cm, 가로 13cm
소장품번호
한박소장
182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한글 제90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