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어사화는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홍패(紅牌), 일산(日傘)과 함께 임금이 하사한 종이꽃으로 급제자가 쓰는 복두(幞頭) 뒤에 꽂아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 어사화는 이익문(李益文) 1816년(순조 16) 치러진 문과에서 병과 11위로 합격한 후 받은 어사화이다. 유물상태는 오래되어 바스러지는 부분이 있다.
특징어사화는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홍패(紅牌), 일산(日傘)과 함께 임금이 하사한 종이꽃으로 급제자가 쓰는 복두(幞頭) 뒤에 꽂아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 어사화는 이익문(李益文) 1816년(순조 16) 치러진 문과에서 병과 11위로 합격한 후 받은 어사화이다. 유물상태는 오래되어 바스러지는 부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