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안경은 눈의 굴절 이상을 보정·보호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도구이다. 현재까지 안경 기원에 관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더불어 우리나라에 안경이 유입된 시기 또한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호민李好閔(1553~1634)이 쓴 『오봉집五峯集』의 안경명眼鏡銘과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을 통해 안경의 유입 시기가 추정될 뿐이다. 또한 이규경李圭景(1788~1863)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실린 애체변증설과 강세황姜世晃(1713~1791)의 안경眼鏡은 과거 안경 착용에 관한 실제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쓰이고 있다. 현존하는 안경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임진왜란 직전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학봉 김성일金誠一(1538~1593)의 안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실다리 대모안경(거북이 등껍질)으로 안경집은 옻칠한 피나무로 제작되었다.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알,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초기 안경은 코에 걸쳐 착용하거나 실고리 또는 끈을 달아 착용하였다. 안경테는 안경의코걸이가 접히는 접이식 형태에서 점차 코걸이 고정식 형태로 변화하였다. 초창기 안경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실고리나 끈은 활동성과 안정성, 편리성의 요구로 인하여 안경다리로 변화하였으며 그로 인해 착용이 용이해졌다.
저작권 보호분야 “안경(眼鏡)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안경(眼鏡)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명칭안경(眼鏡)
국적/시대한국 - 조선
출토지서울특별시-강동구
분류의생활 - 장신구 - 신체장식 - 안경
재질유리/보석 - 유리
특징안경은 눈의 굴절 이상을 보정·보호하거나 장식하기 위한 도구이다. 현재까지 안경 기원에 관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더불어 우리나라에 안경이 유입된 시기 또한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호민李好閔(1553~1634)이 쓴 『오봉집五峯集』의 안경명眼鏡銘과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을 통해 안경의 유입 시기가 추정될 뿐이다. 또한 이규경李圭景(1788~1863)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실린 애체변증설과 강세황姜世晃(1713~1791)의 안경眼鏡은 과거 안경 착용에 관한 실제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쓰이고 있다. 현존하는 안경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임진왜란 직전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학봉 김성일金誠一(1538~1593)의 안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실다리 대모안경(거북이 등껍질)으로 안경집은 옻칠한 피나무로 제작되었다.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알,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초기 안경은 코에 걸쳐 착용하거나 실고리 또는 끈을 달아 착용하였다. 안경테는 안경의코걸이가 접히는 접이식 형태에서 점차 코걸이 고정식 형태로 변화하였다. 초창기 안경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실고리나 끈은 활동성과 안정성, 편리성의 요구로 인하여 안경다리로 변화하였으며 그로 인해 착용이 용이해졌다.
크기가로 14.0cm, 세로 6.0cm
소장품번호
구입
1267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안경(眼鏡)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