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승경도 놀이에 사용되는 말판이다. 승경도놀이의 주 놀이 도구인 말판은 대개 가로 80㎝, 세로 120㎝ 내외의 크기이며, 바둑판형으로 격자를 만들고 그 안에 관직과 다음 이동할 칸의 위치를 써 넣어 만든다. 칸의 수는 대략 적게는 80여 칸이며, 많게는 300여 칸을 넣기도 한다. 벼슬자리의 수와 써 넣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방으로는 이른바 외직인 8도의 감사·병사·수사·주요 고을의 수령을 배치하고, 중앙부의 첫 꼭대기에는 정1품을, 그 다음에 종1품을 차례대로 늘어 놓아 맨 밑에는 종9품이 오게 한다. 승경도는 옛 벼슬 이름을 종이에 도표로 그려 놓고 윤목輪木이나 주사위를 던져 누가 가장 먼저 높은 관직에 오르는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승경도(陞卿圖)는 ‘벼슬살이하는 도표’라는 뜻으로 ‘종경도(從卿圖)’, ‘종정도(從政圖)’ ‘승정도(陞政圖)’, ‘승관도(勝官圖)’라고도 부른다. 승경도놀이는 오각형으로 길쭉하게 만든 윤목이나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대로 말을 이동하여, 놀이판의 최종 종착지인 봉조하(奉朝賀)에 도착하면 승리하는데 주로 양반 자제들이 즐기던 민속놀이이다. 대개 계절에 상관없이 즐겼으나, 이 놀이를 통해 일 년의 운세를 점치기도 했기 때문에 주로 정월에 즐겨 놀았다.
저작권 보호분야 “승경도(陞卿圖)”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승경도(陞卿圖)
안동시립민속박물관
명칭승경도(陞卿圖)
국적/시대한국 - 광복이후
분류문화예술 - 놀이/여가 - 놀이 - 승경도
재질종이 - 양지
특징승경도 놀이에 사용되는 말판이다. 승경도놀이의 주 놀이 도구인 말판은 대개 가로 80㎝, 세로 120㎝ 내외의 크기이며, 바둑판형으로 격자를 만들고 그 안에 관직과 다음 이동할 칸의 위치를 써 넣어 만든다. 칸의 수는 대략 적게는 80여 칸이며, 많게는 300여 칸을 넣기도 한다. 벼슬자리의 수와 써 넣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방으로는 이른바 외직인 8도의 감사·병사·수사·주요 고을의 수령을 배치하고, 중앙부의 첫 꼭대기에는 정1품을, 그 다음에 종1품을 차례대로 늘어 놓아 맨 밑에는 종9품이 오게 한다.
승경도는 옛 벼슬 이름을 종이에 도표로 그려 놓고 윤목輪木이나 주사위를 던져 누가 가장 먼저 높은 관직에 오르는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승경도(陞卿圖)는 ‘벼슬살이하는 도표’라는 뜻으로 ‘종경도(從卿圖)’, ‘종정도(從政圖)’ ‘승정도(陞政圖)’, ‘승관도(勝官圖)’라고도 부른다. 승경도놀이는 오각형으로 길쭉하게 만든 윤목이나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대로 말을 이동하여, 놀이판의 최종 종착지인 봉조하(奉朝賀)에 도착하면 승리하는데 주로 양반 자제들이 즐기던 민속놀이이다. 대개 계절에 상관없이 즐겼으나, 이 놀이를 통해 일 년의 운세를 점치기도 했기 때문에 주로 정월에 즐겨 놀았다.
크기가로 78.0cm, 세로 58.0cm
소장품번호
구입
670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승경도(陞卿圖)”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