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아동들의 한자 학습을 돕기위한 학습서로 한자 3,360자의 한글음과 뜻풀이가 기재되어 있음. 최세진(崔世珍, 1473~1542) 편찬. 시대 미상. 목판본. 3권1책(112장) : 사주쌍변 반곽28.2cmx19.1cm, 유계, 4행4자(凡例및引 10행19자), 상하내향3엽화문어미(상하내향2엽화문어미 혼입). 표기문자: 한글·한자. 표제: 字會, 목록제: 訓蒙字會. 訓蒙字會引: 嘉靖六年(1527)四月日折衝將軍行忠武衛副護軍臣崔世珍謹題. 표지 갈변 및 박락 있음. 본문에 얼룩 있음. 중간본 계통의 간행연도를 알 수 없는 판본으로 3엽화문어미와 2엽화문어미가 섞여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7세기 이후의 것으로 볼 수 있음. 상, 중, 하의 3권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문, 지리, 인류, 잡어 등 33항목으로 주제를 나누어 글자를 수록하였음. 「범례」의 끝에 붙은 '언문자모(諺文字母)'에는 훈민정음의 자모 체계에서 ‘ㆆ’이 빠진 27자 체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자모의 명칭과 배열순서는 국어학사의 귀중한 자료임. 자료등급: 2등급.
저작권 보호분야 “훈몽자회(목판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훈몽자회(목판본)
국립한글박물관
명칭훈몽자회(목판본)
다른명칭訓蒙字會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사회생활 - 교육 - 기타
재질종이 - 저지
자율분류재질-지-한지
특징아동들의 한자 학습을 돕기위한 학습서로 한자 3,360자의 한글음과 뜻풀이가 기재되어 있음. 최세진(崔世珍, 1473~1542) 편찬. 시대 미상. 목판본. 3권1책(112장) : 사주쌍변 반곽28.2cmx19.1cm, 유계, 4행4자(凡例및引 10행19자), 상하내향3엽화문어미(상하내향2엽화문어미 혼입). 표기문자: 한글·한자. 표제: 字會, 목록제: 訓蒙字會. 訓蒙字會引: 嘉靖六年(1527)四月日折衝將軍行忠武衛副護軍臣崔世珍謹題. 표지 갈변 및 박락 있음. 본문에 얼룩 있음. 중간본 계통의 간행연도를 알 수 없는 판본으로 3엽화문어미와 2엽화문어미가 섞여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7세기 이후의 것으로 볼 수 있음. 상, 중, 하의 3권1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문, 지리, 인류, 잡어 등 33항목으로 주제를 나누어 글자를 수록하였음. 「범례」의 끝에 붙은 '언문자모(諺文字母)'에는 훈민정음의 자모 체계에서 ‘ㆆ’이 빠진 27자 체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자모의 명칭과 배열순서는 국어학사의 귀중한 자료임. 자료등급: 2등급.
작가최세진 편찬
크기가로 24.2cm, 세로 36.2cm
소장품번호
한구
1062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훈몽자회(목판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