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1892년 1월~1898년 6월 F.Ohlinger가 발행하고 H. G. Appenzeller, G. H. Jones, H. B. Hulbert가 속간한 국내 최초의 영문 월간지 'THE KOREAN REPOSITORY 1~5(코리언 리포지터리)'. (5-1)은 1892년에 발행한 VOLUMEⅠ로, 'THE KOREAN ALPHABET Ⅰ, KOREAN SCHOOLS, THE KOREAN ALPHABET Ⅱ, BUDDHISM IN KOREAN HISTORY AND LANGUAGE, KOREA: A PLEA AND A GROWL, FLYING COMMENTS, THE PERSIANS IN THE FAR EAST, A TRIP TO THE MONT BLANC OF KOREA, A VISIT TO THE MONT BLANC OF KOREA, THE ALPHABET(PANCHUL), SUGGESTIONS ON TRAVELLING IN KOREA, THE BEGINNINGS OF MEDICAL WORK IN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2)는 1895년에 발행한 VOLUMEⅡ로, 'KOREAN REFORMS, KOREAN GIULDS AND OTHER ASSOCIATIONS, THE FOUNDER OF KOREAN CIVILIZATION, ODE ON FILIAL PIETY, ROMANIZATION OF KOREAN SOUNDS, SEVEN MONTHS AMONG THE TONG HAKS, WHERE THE HAN BENDS, PLACES OF INTEREST IN KOREA, KOREAN HISTORY, REVIEW OF THE GOSPELS OF MATTHEW AND JOHN, CONFUCIANISM IN KOREA, FOREIGN FRUIT CULTURE IN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3)은 1896년에 발행한 VOLUME Ⅲ로, 'LOVE SONGS, KOREAN VOCAL MUSIC, KOREAN HISTORY, FATHER COSTE, KOREAN HISTORY, THE STATUS OF WOMAN IN KOREA, THE ATTACK ON THE TOP KNOT, ODE ON THE PEDLAR, HISTORICAL NOTES ON THE REIGNING DYNASTY, SOME KOREAN CUSTOMS, HIS MAJESTY, THE KING OF KOREA, NUMERICAL CATEGORIES OF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4)는 1897년에 발행한 VOLUME Ⅳ로, 'THE COREAN GOVERNMENT, KOREANS IN RUSSIAN MANCHURIA, A TRIP ACROSS NORTHERN KOREA, HISTORICAL NOTES ON THE REIGNING DYNASTY, A ROYAL FUNERAL, BIBLIOGRAPHIE COREENE, A KOREAN ABROAD, TÄL SUNG-A LEGEND, THE FIFTY-THREE BUDDHAS AND THE NINE DRAGONS, THE COREAN GOVERNMENT, RUSSIA IN THE FAR EAST, JOHN W.HERON, M.D.'로 구성되어 있음. (5-5)는 1898년에 발행한 VOLUME Ⅴ로, 'THE KOREAN GENTLEMAN, GEOMANCY IN KOREA, SIMEON FRANÇOIS BERNEUX, BISHOP AND MARTYR, KOREAN FARMS-IMPROVEMENTS, KOREAN GINSENG, THE MONGOLS IN KOREA, THE TAIWON KUN, THE INDEPENDENCE CLUB, ELEGY ON THE DEATH OF THE KOREAN NUN RIGUWAN, WONSAN AND ACROSS THE PENINSULA, KOREAN SONG'로 구성되어있음. 'THE KOREAN REPOSITORY(코리언 리포지터리)'는 한국에 방문한 외국 선교사들이 한국의 사정을 알리기 위해 발행한 것으로, 1892년(고종 29) 1월 영국인 선교사 F.Ohlinger의해 창간 되었으며, 그해 12월에 휴간되었다가 3년 뒤인 1895년 H. G. Appenzeller, G. H. Jones, H. B. Hulbert 등에 의해 속간되어 99년 4월 통권 59호로 폐간됨. 한국의 정치, 경제, 문화, 풍습, 종교 언어를 소개하고 있으며, 서구문화를 우리나라에 소개하고 인식시키는 데도 큰 공헌을 함.
저작권 보호분야 “THE KOREAN REPOSITORY 1~5”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THE KOREAN REPOSITORY 1~5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명칭THE KOREAN REPOSITORY 1~5
다른명칭코리언 리포지터리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미디어 - 신문/방송 - 잡지
재질종이
특징1892년 1월~1898년 6월 F.Ohlinger가 발행하고 H. G. Appenzeller, G. H. Jones, H. B. Hulbert가 속간한 국내 최초의 영문 월간지 'THE KOREAN REPOSITORY 1~5(코리언 리포지터리)'. (5-1)은 1892년에 발행한 VOLUMEⅠ로, 'THE KOREAN ALPHABET Ⅰ, KOREAN SCHOOLS, THE KOREAN ALPHABET Ⅱ, BUDDHISM IN KOREAN HISTORY AND LANGUAGE, KOREA: A PLEA AND A GROWL, FLYING COMMENTS, THE PERSIANS IN THE FAR EAST, A TRIP TO THE MONT BLANC OF KOREA, A VISIT TO THE MONT BLANC OF KOREA, THE ALPHABET(PANCHUL), SUGGESTIONS ON TRAVELLING IN KOREA, THE BEGINNINGS OF MEDICAL WORK IN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2)는 1895년에 발행한 VOLUMEⅡ로, 'KOREAN REFORMS, KOREAN GIULDS AND OTHER ASSOCIATIONS, THE FOUNDER OF KOREAN CIVILIZATION, ODE ON FILIAL PIETY, ROMANIZATION OF KOREAN SOUNDS, SEVEN MONTHS AMONG THE TONG HAKS, WHERE THE HAN BENDS, PLACES OF INTEREST IN KOREA, KOREAN HISTORY, REVIEW OF THE GOSPELS OF MATTHEW AND JOHN, CONFUCIANISM IN KOREA, FOREIGN FRUIT CULTURE IN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3)은 1896년에 발행한 VOLUME Ⅲ로, 'LOVE SONGS, KOREAN VOCAL MUSIC, KOREAN HISTORY, FATHER COSTE, KOREAN HISTORY, THE STATUS OF WOMAN IN KOREA, THE ATTACK ON THE TOP KNOT, ODE ON THE PEDLAR, HISTORICAL NOTES ON THE REIGNING DYNASTY, SOME KOREAN CUSTOMS, HIS MAJESTY, THE KING OF KOREA, NUMERICAL CATEGORIES OF KOREA'로 구성되어 있음. (5-4)는 1897년에 발행한 VOLUME Ⅳ로, 'THE COREAN GOVERNMENT, KOREANS IN RUSSIAN MANCHURIA, A TRIP ACROSS NORTHERN KOREA, HISTORICAL NOTES ON THE REIGNING DYNASTY, A ROYAL FUNERAL, BIBLIOGRAPHIE COREENE, A KOREAN ABROAD, TÄL SUNG-A LEGEND, THE FIFTY-THREE BUDDHAS AND THE NINE DRAGONS, THE COREAN GOVERNMENT, RUSSIA IN THE FAR EAST, JOHN W.HERON, M.D.'로 구성되어 있음. (5-5)는 1898년에 발행한 VOLUME Ⅴ로, 'THE KOREAN GENTLEMAN, GEOMANCY IN KOREA, SIMEON FRANÇOIS BERNEUX, BISHOP AND MARTYR, KOREAN FARMS-IMPROVEMENTS, KOREAN GINSENG, THE MONGOLS IN KOREA, THE TAIWON KUN, THE INDEPENDENCE CLUB, ELEGY ON THE DEATH OF THE KOREAN NUN RIGUWAN, WONSAN AND ACROSS THE PENINSULA, KOREAN SONG'로 구성되어있음. 'THE KOREAN REPOSITORY(코리언 리포지터리)'는 한국에 방문한 외국 선교사들이 한국의 사정을 알리기 위해 발행한 것으로, 1892년(고종 29) 1월 영국인 선교사 F.Ohlinger의해 창간 되었으며, 그해 12월에 휴간되었다가 3년 뒤인 1895년 H. G. Appenzeller, G. H. Jones, H. B. Hulbert 등에 의해 속간되어 99년 4월 통권 59호로 폐간됨. 한국의 정치, 경제, 문화, 풍습, 종교 언어를 소개하고 있으며, 서구문화를 우리나라에 소개하고 인식시키는 데도 큰 공헌을 함.
작가F.Ohlinger, H. G. Appenzeller, G. H. Jones, H. B. Hulbert
크기가로 15.6cm, 세로 22.5cm, 두께 3.1cm, 가로 15.6cm, 세로 22.4cm, 두께 4.3cm
소장품번호
한박
7621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THE KOREAN REPOSITORY 1~5”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