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대형의 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이다. 구연부(口緣部)는 높고 않고, 살짝 외경(外境)하여 곧게 뻗어 있다. 몸체는 견부에서 둥글게 벌어졌다 곡선을 이루며 좁아지다 저부에서 다시 조금 벌어져 굽에 이르는 S자 형태이다. 굽은 굽도리를 안으로 꺾어 만들었고 안바닥은 외면보다 깊게 깎아 냈다. 전체적으로 기벽이 두껍다. 기형이 조금 틀어져 있다. 문양은 짙은 청화안료로 장식하였다. 구연부 윗쪽과 아랫쪽에 두줄씩 청화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구름 무늬를 그려 넣었다. 견부에는 여의두문을 종속문양으로 배치하였고, 항아리 몸체에는 구름속을 헤쳐나가는 四爪 용무늬을 주문양으로 장식하였다. 용은 동체 가득 기면을 감싸고 있으며, 그 밖의 부분에는 간략한 표현의 구름무늬를 가득 채워넣었다. 치밀질(緻密質) 태토로 만들었으며, 유색은 담청색이다. 굽의 접지면은 내화토(耐火土)를 바르고 번조(燔造)하였다. 구연부는 철점, 핀홀자국 모래알갱이가 있다. 동체에 모래알갱이, 철점, 핀홀자국, 얼룩, 유약이 눌린부분, 뭉친부분이 있고 청화가 번져 있다. 저부와 굽이 만나는 곳에 유약이 시유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굽에 2cm 균열이 가 있고 굽과 굽안바닥이 만나는 부분에 약 반바퀴 균열이 가 있다. 굽안바닥에 내화토가 벗겨져 있다.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저작권 보호분야 “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
국립고궁박물관
명칭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
다른명칭白磁靑畵雲龍文壺/白磁罇缸
국적/시대한국 - 고려
분류식생활 - 음식기 - 저장운반 - 항아리
재질도자기 - 백자
특징대형의 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이다. 구연부(口緣部)는 높고 않고, 살짝 외경(外境)하여 곧게 뻗어 있다. 몸체는 견부에서 둥글게 벌어졌다 곡선을 이루며 좁아지다 저부에서 다시 조금 벌어져 굽에 이르는 S자 형태이다. 굽은 굽도리를 안으로 꺾어 만들었고 안바닥은 외면보다 깊게 깎아 냈다. 전체적으로 기벽이 두껍다. 기형이 조금 틀어져 있다.
문양은 짙은 청화안료로 장식하였다. 구연부 윗쪽과 아랫쪽에 두줄씩 청화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구름 무늬를 그려 넣었다. 견부에는 여의두문을 종속문양으로 배치하였고, 항아리 몸체에는 구름속을 헤쳐나가는 四爪 용무늬을 주문양으로 장식하였다. 용은 동체 가득 기면을 감싸고 있으며, 그 밖의 부분에는 간략한 표현의 구름무늬를 가득 채워넣었다.
치밀질(緻密質) 태토로 만들었으며, 유색은 담청색이다. 굽의 접지면은 내화토(耐火土)를 바르고 번조(燔造)하였다.
구연부는 철점, 핀홀자국 모래알갱이가 있다. 동체에 모래알갱이, 철점, 핀홀자국, 얼룩, 유약이 눌린부분, 뭉친부분이 있고 청화가 번져 있다. 저부와 굽이 만나는 곳에 유약이 시유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굽에 2cm 균열이 가 있고 굽과 굽안바닥이 만나는 부분에 약 반바퀴 균열이 가 있다. 굽안바닥에 내화토가 벗겨져 있다.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크기입지름 15.7cm, 바닥지름 12.4cm, 높이 49.0cm
소장품번호
창덕
71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백자청화용무늬항아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