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도교 계통의 경전(經典). 4침안정법(四針眼訂法). 활자본. 표지 2장. 내지 62장. 무계(無界). 항자수부정(行字數不定).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1929년(昭和 3) 6월 5일 한남서림(翰南書林)에서 재판 발행. 정가 1원(圓). 표제(標題)는 상밀주해 옥추보경(詳密註解 玉樞寶經). 권수에는 목차와 중국 명나라 세종, 김정희(金正喜), 최승두(崔乘斗)가 쓴 서문, 범례 있음. 이어서 계청송(啓請頌), 정구신주(淨口神呪), 안토지신주(安土地神呪), 금광신주(金光神呪), 사십팔신주(四十八神呪) 등 상황에 따라 외우는 주문 실려 있음. 권말에 부적 있음.
저작권 보호분야 “옥추보경(玉樞寶經)”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옥추보경(玉樞寶經)
국립민속박물관
명칭옥추보경(玉樞寶經)
다른명칭도경(道經), 무경(巫經)
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
분류종교신앙 - 민간신앙 - 점복/주술 - 기타
재질종이
특징도교 계통의 경전(經典). 4침안정법(四針眼訂法). 활자본. 표지 2장. 내지 62장. 무계(無界). 항자수부정(行字數不定).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1929년(昭和 3) 6월 5일 한남서림(翰南書林)에서 재판 발행. 정가 1원(圓). 표제(標題)는 상밀주해 옥추보경(詳密註解 玉樞寶經). 권수에는 목차와 중국 명나라 세종, 김정희(金正喜), 최승두(崔乘斗)가 쓴 서문, 범례 있음. 이어서 계청송(啓請頌), 정구신주(淨口神呪), 안토지신주(安土地神呪), 금광신주(金光神呪), 사십팔신주(四十八神呪) 등 상황에 따라 외우는 주문 실려 있음. 권말에 부적 있음.
크기세로 22cm, 가로 15.1cm, 두께 2cm
소장품번호
민속
95032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옥추보경(玉樞寶經)”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