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충남 부여군 부여읍 장하리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유물. 2층 탑의 중앙에서 발견. 뚜껑, 병의 외측면 일부 결실, 도금(鍍金) 박락됨. 병 동체부 중앙 양이(兩耳), 연환(連環)이 달림, 뚜껑 탑형(塔形)의 꼭지 부착됨. 구연부, 굽에 연판문(蓮瓣文), 동체부 산악과 보상화문(寶相華文), 날아가는 새, 비운문(飛雲文)등 선조(線彫)됨, 그 외 공간에는 어자문(魚子文)이 시문됨. 발견 당시 7개의 진주알을 담은 은사리내병이 금동사리외병에 넣어져 있었으며, 다시 36알의 진주를 싼 종이를 마개로 삼음.
저작권 보호분야 “금동사리외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금동사리외병
국립부여박물관
명칭금동사리외병
다른명칭金銅舍利外甁
국적/시대한국 - 고려
출토지충청남도-부여군
분류종교신앙 - 불교 - 장엄 - 사리구
재질금속 - 금동
특징충남 부여군 부여읍 장하리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유물. 2층 탑의 중앙에서 발견. 뚜껑, 병의 외측면 일부 결실, 도금(鍍金) 박락됨. 병 동체부 중앙 양이(兩耳), 연환(連環)이 달림, 뚜껑 탑형(塔形)의 꼭지 부착됨. 구연부, 굽에 연판문(蓮瓣文), 동체부 산악과 보상화문(寶相華文), 날아가는 새, 비운문(飛雲文)등 선조(線彫)됨, 그 외 공간에는 어자문(魚子文)이 시문됨. 발견 당시 7개의 진주알을 담은 은사리내병이 금동사리외병에 넣어져 있었으며, 다시 36알의 진주를 싼 종이를 마개로 삼음.
크기높이 9.6cm
소장품번호
부여
1493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금동사리외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