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과정/역사> 바늘을 위험하지 않게 꽂아서 보관하는 것이 목적인 바늘집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정확치 않다. 다만 직조(織造)과정이 생겨나고 바늘이 사용되면서부터 원시적인 형태의 바늘집 혹은 바늘꽂이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오래 전부터 만들어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경주 분황사(芬皇寺) 석탑에서 금·은제 바늘이 발견되어 삼국시대의 바느질 도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바늘집은 대개 조선시대 것이다. 본래 여인들이 항시 사용하는 바늘을 손쉽게 찾아 사용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패용한 것인데,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발전으로 나중에는 장식도 겸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침낭으로 불리는 바늘집은 은(銀)이나 흑각(黑角)으로 만든 것이 있고, 비단에 수를 놓아 노리개로 패용(佩用)하게 만든 것도 있다. 이 유물은 백동으로 만들어진 심엽형(心葉形)의 바늘집이다. 바늘집의 가운데는 능(菱)이 만들어져있고 위쪽과 아래쪽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백동바늘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백동바늘집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명칭백동바늘집
다른명칭白銅針囊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주생활 - 생활용품/가전 - 재봉구 - 바늘집
재질금속 - 백동
특징<정의>
바느질 바늘을 꽂아 두는 물건.
<발달과정/역사>
바늘을 위험하지 않게 꽂아서 보관하는 것이 목적인 바늘집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정확치 않다. 다만 직조(織造)과정이 생겨나고 바늘이 사용되면서부터 원시적인 형태의 바늘집 혹은 바늘꽂이가 사용되었다고 생각되므로 오래 전부터 만들어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경주 분황사(芬皇寺) 석탑에서 금·은제 바늘이 발견되어 삼국시대의 바느질 도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바늘집은 대개 조선시대 것이다. 본래 여인들이 항시 사용하는 바늘을 손쉽게 찾아 사용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패용한 것인데,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발전으로 나중에는 장식도 겸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침낭으로 불리는 바늘집은 은(銀)이나 흑각(黑角)으로 만든 것이 있고, 비단에 수를 놓아 노리개로 패용(佩用)하게 만든 것도 있다.
이 유물은 백동으로 만들어진 심엽형(心葉形)의 바늘집이다. 바늘집의 가운데는 능(菱)이 만들어져있고 위쪽과 아래쪽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작가미상
크기길이 4cm, 너비 4.1cm, 두께 1.2cm
소장품번호
대구대
511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백동바늘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