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손잡이 부분 일부가 결실된 상태로 평면 형태는 'L'자와 유사한 형태이다. 정면을 마연하였고 손잡이 단면형태가 장방형이다. 청동기시대의 낫은 요즘 낫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반달돌칼에 비해 출토되는 빈도가 극히 적어 수확용구로서의 기능은 적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돌낫은 곡물을 거두는데 사용했을 수도 있으나 풀이나 잔가지를 자르는 용도로 더 많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색상은 흑회색이다.
특징손잡이 부분 일부가 결실된 상태로 평면 형태는 'L'자와 유사한 형태이다. 정면을 마연하였고 손잡이 단면형태가 장방형이다. 청동기시대의 낫은 요즘 낫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반달돌칼에 비해 출토되는 빈도가 극히 적어 수확용구로서의 기능은 적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돌낫은 곡물을 거두는데 사용했을 수도 있으나 풀이나 잔가지를 자르는 용도로 더 많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색상은 흑회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