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찰방공일기’는 즉 어떤 문중의 선조 중 찰방을 지낸 사람의 일기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찰방공일기’는 역참을 중심으로 쓴 일기가 아니라 개인 일기라는 뜻이다. 그런데 본 자료는 제목이 ‘찰방공일기’이지만 개인 일기가 아니다. 일종의 ‘택일력(擇日曆)’으로 결혼, 출행(出行), 이사, 농사, 매매, 침(針), 목욕, 지붕 수리, 장 담그는 날 등등 그야말로 민간 생활 속에서 그날그날의 길흉을 표시한 달력이다. 조선시대 민간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목판본이다. 그런데 앞표지 '만력 몇년', '찰방공일기'라고 되어 있는 표지는 후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 보호분야 “찰방공일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찰방공일기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명칭찰방공일기
다른명칭察訪公日記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종교신앙 - 민간신앙 - 점복/주술 - 기타
재질종이
특징찰방공일기’는 즉 어떤 문중의 선조 중 찰방을 지낸 사람의 일기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찰방공일기’는 역참을 중심으로 쓴 일기가 아니라 개인 일기라는 뜻이다. 그런데 본 자료는 제목이 ‘찰방공일기’이지만 개인 일기가 아니다. 일종의 ‘택일력(擇日曆)’으로 결혼, 출행(出行), 이사, 농사, 매매, 침(針), 목욕, 지붕 수리, 장 담그는 날 등등 그야말로 민간 생활 속에서 그날그날의 길흉을 표시한 달력이다. 조선시대 민간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목판본이다. 그런데 앞표지 '만력 몇년', '찰방공일기'라고 되어 있는 표지는 후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크기가로 33.5cm, 세로 19.3cm, 두께 0.6cm
소장품번호
서지류
409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찰방공일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