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1938년(소화 13) 11월 조선총독부 체신국(朝鮮總督府 遞信局)에서 발행한 황국신민(皇國臣民) 그림엽서. 엽서 3점과 케이스로 구성됨. 미사용품. (4-1~3)은 엽서. 앞면에는 '國民精神總動員' 등의 문구, 황국신민서사 및 황국신민으로써 실천해야 하는 것을 묘사한 그림 등이, 뒷면에는 조선간이보험(朝鮮簡易保險)에 대한 소개, 가입방법, 판매처에 대한 정보와 '郵便はがき' 문구 등이 있음. 앞면의 그림은 (4-1)은 매일 아침 신사 참배를 하고, 축일과 제일(祭日)에 일장기를 게양하자는 내용 등이, (4-2)는 물자를 아껴 쓰고, 화재나 기타 재해에 대비하자는 내용 등이, (4-3)은 어린이 교육에 힘쓰고, 매일 신체를 단련하자는 내용 등이 묘사됨. (4-4)는 케이스. 케이스 내면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엽서를 넣는 공간이 있음. 앞면에는 발행처에 대한 정보와 '簡易保險で貯蓄報國', '銃後の護りに簡易保險' 문구 등이, 뒷면에는 1938년 11월 현재 지역별 조선간이보험 보급 현황에 대한 통계가 있음. 조선의 제7대 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郎)는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조선인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본격화하기 위해 그해 10월 「황국신민서사」를 제정하고, 학교를 비롯해 관공서·은행·회사·공장·상점 등 모든 직장의 조회, 기타 회합에서 제창하도록 함. 그해 9월 6일을 애국일로 정하고, 이후 매월 6일에 애국일 행사를 갖도록 함. 애국일에는 신사참배, 국기 게양, 황국신민서사 제창, 근로봉사 등을 강제함.
저작권 보호분야 “황국신민 그림엽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황국신민 그림엽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명칭황국신민 그림엽서
다른명칭皇國臣民繪葉書
국적/시대한국 - 일제강점
분류교통/통신 - 통신 - 우편 - 엽서
재질종이
특징1938년(소화 13) 11월 조선총독부 체신국(朝鮮總督府 遞信局)에서 발행한 황국신민(皇國臣民) 그림엽서. 엽서 3점과 케이스로 구성됨. 미사용품. (4-1~3)은 엽서. 앞면에는 '國民精神總動員' 등의 문구, 황국신민서사 및 황국신민으로써 실천해야 하는 것을 묘사한 그림 등이, 뒷면에는 조선간이보험(朝鮮簡易保險)에 대한 소개, 가입방법, 판매처에 대한 정보와 '郵便はがき' 문구 등이 있음. 앞면의 그림은 (4-1)은 매일 아침 신사 참배를 하고, 축일과 제일(祭日)에 일장기를 게양하자는 내용 등이, (4-2)는 물자를 아껴 쓰고, 화재나 기타 재해에 대비하자는 내용 등이, (4-3)은 어린이 교육에 힘쓰고, 매일 신체를 단련하자는 내용 등이 묘사됨. (4-4)는 케이스. 케이스 내면 좌측 가장자리 부분에 엽서를 넣는 공간이 있음. 앞면에는 발행처에 대한 정보와 '簡易保險で貯蓄報國', '銃後の護りに簡易保險' 문구 등이, 뒷면에는 1938년 11월 현재 지역별 조선간이보험 보급 현황에 대한 통계가 있음.
조선의 제7대 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郎)는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조선인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본격화하기 위해 그해 10월 「황국신민서사」를 제정하고, 학교를 비롯해 관공서·은행·회사·공장·상점 등 모든 직장의 조회, 기타 회합에서 제창하도록 함. 그해 9월 6일을 애국일로 정하고, 이후 매월 6일에 애국일 행사를 갖도록 함. 애국일에는 신사참배, 국기 게양, 황국신민서사 제창, 근로봉사 등을 강제함.
작가조선총독부 체신국
크기가로 14.2cm, 세로 9.0cm, 가로 10.2cm, 세로 18.0cm
소장품번호
구입
6641
촬영연도
0
~ 0
제 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저작권 보호분야 “황국신민 그림엽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