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제석사지 폐기장에서 출토되었다. 소조로 된 악귀상의 머리 부분이다. 악귀상은 눈꺼풀이 넓게 표현되었으며 무엇인가에 놀라 눈을 크게 뜨고 있다. 중앙부에는 짐승의 코처럼 벌어져 있으며 악다문 이빨과 함께 두꺼운 입술이 표현되어 있다. 수염이 얼굴을 뒤덮었으며 도톰한 귓바퀴와 귓구멍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 내면에서 골조흔이 확인된다. 악귀상은 사천왕 또는 신장에게 밟힌 악귀의 고통스러움과 일그러진 표정을 매우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사천왕과 신장은 으레 생령좌生靈坐 즉 악귀나 동물로 이루어진 대좌를 밟고 선 모습으로 표현되곤 한다. 불교세계에서 사천왕은 제석천의 밑에서 인간세계를 돌보는 존재다.
저작권 보호분야 “악귀상 머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악귀상 머리
국립전주박물관
명칭악귀상 머리
다른명칭惡鬼像頭部
국적/시대한국 - 백제
출토지전라북도-익산시
분류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재질토제 - 소조
특징제석사지 폐기장에서 출토되었다. 소조로 된 악귀상의 머리 부분이다. 악귀상은 눈꺼풀이 넓게 표현되었으며 무엇인가에 놀라 눈을 크게 뜨고 있다. 중앙부에는 짐승의 코처럼 벌어져 있으며 악다문 이빨과 함께 두꺼운 입술이 표현되어 있다. 수염이 얼굴을 뒤덮었으며 도톰한 귓바퀴와 귓구멍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 내면에서 골조흔이 확인된다. 악귀상은 사천왕 또는 신장에게 밟힌 악귀의 고통스러움과 일그러진 표정을 매우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사천왕과 신장은 으레 생령좌生靈坐 즉 악귀나 동물로 이루어진 대좌를 밟고 선 모습으로 표현되곤 한다. 불교세계에서 사천왕은 제석천의 밑에서 인간세계를 돌보는 존재다.
크기길이 20.5cm, 현재너비 12.4cm
소장품번호
전주
9303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악귀상 머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