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한국 청동기 문화에서 금속문화는 중국 대륙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지역마다 독자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만들어졌다. 전북 지역에서는 중국과의 직접적 교류를 보여주는 청동기가 나왔다. 완주 상림리 유적에서 한국식 청동검과 형태나 제작 방법이 확연하게 다른 중국식동검東周式銅劍이 발견되었다. 중국식 동검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동주東周(기원전 770~221)의 황허 강 유역에서 제작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예가 많지 않다. 중국식 동검은 검의 몸체와 자루를 함께 붙여 만들었으며 일반적으로 몸체가 길고 마름모菱形 형태의 검 코가 있다. 이 동검 26자루를 특별한 시설을 하지 않은 구덩이에 한꺼번에 묻은 것으로 보아 의례 등을 거쳐 묻힌 것으로 생각된다.
저작권 보호분야 “중국식동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중국식동검
국립전주박물관
명칭중국식동검
다른명칭中國式銅劍
국적/시대한국 - 청동기
출토지전라북도-완주군
분류군사 - 근력무기 - 도검 - 검
재질금속 - 동합금
특징한국 청동기 문화에서 금속문화는 중국 대륙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지역마다 독자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만들어졌다. 전북 지역에서는 중국과의 직접적 교류를 보여주는 청동기가 나왔다. 완주 상림리 유적에서 한국식 청동검과 형태나 제작 방법이 확연하게 다른 중국식동검東周式銅劍이 발견되었다. 중국식 동검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동주東周(기원전 770~221)의 황허 강 유역에서 제작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예가 많지 않다. 중국식 동검은 검의 몸체와 자루를 함께 붙여 만들었으며 일반적으로 몸체가 길고 마름모菱形 형태의 검 코가 있다. 이 동검 26자루를 특별한 시설을 하지 않은 구덩이에 한꺼번에 묻은 것으로 보아 의례 등을 거쳐 묻힌 것으로 생각된다.
크기길이 45.3cm, 자루길이 8cm
소장품번호
전주
473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중국식동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