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성 필 하외도

국립중앙박물관

원본 해상도 1342 * 3000


  • 명칭이의성 필 하외도
  • 다른명칭李義聲筆河隈圖, 이의성 필 하회도, 李義聲筆河隈圖 十幅屛風, 이의성 필 하외도 10폭 병풍
  • 국적/시대한국 - 조선
  • 분류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재질
  • 작가이의성
  • 크기세로 130cm, 가로 59cm
  • 소장품번호 신수 14144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이의성 필 하외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경상도 안동 일대의 경치를 그린 여덟 폭의 실경산수화에 시와 발문을 더해 열 폭으로 만든 병풍이다. 제2폭부터 각각 도산서원陶山書院, 안동부치安東府治, 석문정石門亭, 수동壽洞, 망천輞川, 하회河回, 구담九潭, 지보知保 순으로 실경이 표현되었다. 16세기의 문인 유중영柳仲郢(1515~1573)은 고향 안동의 산수를 그림으로 그리게 하였고, 정유길鄭惟吉(1515~1588)과 이황李滉(1501~1570)이 시를 붙였지만 전란으로 사라졌다고 한다. 그로부터 약 200년 후, 유중영의 후손 유철조柳喆祚(1771~1842)가 강원도 고성高城 군수로 재임할 때 정유길의 후손인 강원도 관찰사 정원용鄭元容(1783~1873)을 만나 옛 일을 떠올리며 그림과 시를 합친 병풍을 꾸미기로 하였다. 그림은 마침 강원도 흡곡 현령으로 와 있던 문인화가 이의성에게 부탁하였다. 이의성은 실경의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그림을 그리기 위해 지도를 참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감법으로 내려다 본 시점과 다소 도식적인 경물 표현은 회화식 지도의 영향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도 서화를 통해 가문의 옛 인연을 잇고자 하였다.
  • · 연관단어
  • · 전시정보 국립중앙박물관- 서화관- 서화(202호)

추천 콘텐츠 (0건)

추천 콘텐츠 (1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