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고려시대에는 한반도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병 모양의 은화인 은병(銀甁)이 사용되었는데,이는 적은 액수를 거래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듬해인 1102년(숙종 7)에 구리[銅]로 만든 해동통보(海東通寶)를 발행하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해동통보를 보급하기 위해 관료와 군인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또한 이들에게 주는 녹봉도 해동통보로 지급하였으며, 시내의 음식점에서도 쌀이나 포목 대신 해동통보를 사용하도록 적극 지도하였다. 이 해동통보는 앞면에 ″해동통보(海東通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아무 것도 새겨져 있지 않다. 그리고 248점 대부분의 부식 상태가 심한 편이다.
특징고려시대에는 한반도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병 모양의 은화인 은병(銀甁)이 사용되었는데,이는 적은 액수를 거래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듬해인 1102년(숙종 7)에 구리[銅]로 만든 해동통보(海東通寶)를 발행하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해동통보를 보급하기 위해 관료와 군인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또한 이들에게 주는 녹봉도 해동통보로 지급하였으며, 시내의 음식점에서도 쌀이나 포목 대신 해동통보를 사용하도록 적극 지도하였다. 이 해동통보는 앞면에 ″해동통보(海東通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아무 것도 새겨져 있지 않다. 그리고 248점 대부분의 부식 상태가 심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