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설명조선 제26대 왕인 고종의 도장[御寶]이다. 옥을 깎아 사각형으로 만들고 손잡이를 용 모양으로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용은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무늬이고, 중국의 제후국에서는 용이 아닌 거북으로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황제(皇帝)′라는 글자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에 오른 1897년 이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1902년 제작). 1897년 황제국인 대한제국의 선포를 통해 청·러·일 등 제국주의 열강의 노골화된 침탈에 외교적 쐐기를 박으려 한 자주 정신과 당당한 자신감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저작권 보호분야 “고종 가상존호 옥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 미리보기
고종 가상존호 옥보
국립중앙박물관
명칭고종 가상존호 옥보
다른명칭高宗加上尊號玉寶, 고종옥보, 高宗玉寶, 옥새, 玉璽, 어보, 御寶
국적/시대한국 - 조선
분류전통과학 - 인장 - 인장 - 새인
재질석
특징조선 제26대 왕인 고종의 도장[御寶]이다. 옥을 깎아 사각형으로 만들고 손잡이를 용 모양으로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용은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무늬이고, 중국의 제후국에서는 용이 아닌 거북으로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황제(皇帝)′라는 글자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에 오른 1897년 이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1902년 제작). 1897년 황제국인 대한제국의 선포를 통해 청·러·일 등 제국주의 열강의 노골화된 침탈에 외교적 쐐기를 박으려 한 자주 정신과 당당한 자신감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인문> 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歷乾行坤定英毅弘休皇帝之寶
(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렬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황제지보)
크기높이 9.8cm, 가로 10.2cm
소장품번호
신수
9236
촬영연도
0
~ 0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고종 가상존호 옥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