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원본 해상도 2251 * 3000


  • 명칭
  • 다른명칭羊圖,양도
  • 국적/시대한국 - 조선
  • 분류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재질사직 - 견
  • 크기세로 33.6cm, 세로 3.9cm
  • 소장품번호 덕수 2174

제 1유형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유형

* 소장품 및 소장정보의 오류는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바랍니다.

원문

번역문

원문

번역문

  • · 소장품설명 양은 천성이 착한 탓에 해로움을 끼칠 줄도 모르고 오직 쫓기고 희생된다. 양은 설화, 꿈, 속담 등에서도 언제나 유순하고 인내심이 강하고 상서로운 동물로 통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양그림이 자주 그려지지는 않았는데, 공민왕(恭愍王)의 <두 마리의 양(二羊圖)>와 누가 그렸는지 알 수 없는 <산양>가 남아 있다. 조선시대 양 그림 가운데에는 중국 신선 황초평 설화와 관련된 <금화편양도(金華鞭羊圖)>가 눈에 띈다. 염소의 털끝 하나 하나를 세밀하게 묘사하여 사실적인 느낌을 주는 이 작품은 공민왕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이양도>의 느낌과 비슷하다. 다만 염소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면은 북송 원체(院體) 화풍을, 붓을 옆으로 비스듬히 뉘어 재빨리 끌어당겨 바위의 모난 모양을 표현한 부벽준(斧劈?) 등은 남송 원체화풍을 띤다. 이러한 기법상의 혼용은 조선 전기 회화의 일면을 말해주는 듯하다.
  • · 연관단어

추천 콘텐츠 (1건)

추천 콘텐츠 (3건)